베트남 여행 기본 정보, 떠나기 전 알고 가기(개략 정보)
베트남을 이해하는 데 꼭 필요한 정보를 미리 꼼꼼히 살펴보고 기억해 두면 더욱 알차고 편안한 여행을 즐길 수 있습니다.
1. 국명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Cộng hòa Xã hội chủ nghĩa Việt Nam Socialist Republic of Vietnam)
2. 국기
베트남 국기는 금성홍기(金星紅旗)로서 ‘베트남 민주 공화국’으로 독립할 때 처음 만들어졌습니다.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후인 1955년, 이전 기에서 별의 각을 더욱 날카롭게 수정하여 북(北) 베트남의 국기로 지정하였고, 베트남 전쟁 후인 1976년 통일 국가의 국기가 되었습니다.
빨간색은 혁명의 피와 조국의 정신을, 노란색 별 5개의 모서리는 노동자, 농민, 지식인, 청년, 군인의 단결을 의미합니다.
3. 수도
하노이(HàNội, 河內)
4. 행정구역
5개의 중앙 직할시(하노이. 호찌민, 다낭, 하이퐁, 껀터)와 58개의 성으로 구성
5. 면적
33만 1,210 km^2(한반도 면적의 1.5배)
6. 인구
약 9.895만 명(2023년기준)
7. 지리
인도차이나반도 동쪽에 위치하며 남북으로 길게 뻗어 있습니다.
북부는 중국, 북서부는 라오스, 남서부는 캄보디아와 국경을 마주하고 있습니다.
국토의 약 75%가 산악 지대이며, 해안선의 총길이는 3,200 km입니다.
서쪽에는 쯔엉선산맥이 있고 동쪽은 남중국해와 접해 있습니다.
8. 민족
전체 인구의 90%가량이 비엣족(낀족)으로 주로 평야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나머지는 따이족과 타이족, 크메르족 등 54개의 소수 민족으로 산지나 고원 지대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9. 종교
베트남은 전 국민의 80%가 불교도이며 유교, 도교, 토착 신앙도 믿고 있습니다.
불교는 4〜5세기 중국에서 전해진 대승 불교로 10세기 이후 국교로 자리 잡았으며,
각 왕조는 불교를 받들고 발전시켰습니다.
불교에 이어 신도가 많은 종교는 16세기 무렵 선교사에 의해 전해진 가톨릭교입니다.
가톨릭교는 응우옌 왕조 시대에 극심한 탄압을 받았지만,
프랑스가 인도차이나반도를 지배하면서 보호받게 되었습니다.
베트남에는 신흥 종교가 몇 가지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불교 - 유교 - 가톨릭교 등을 융합한 까오다이교로 신흥 종교 중 신도 수가 가장 많습니다.
이외에도 메콩 델타의 안장 지방을 중심으로 퍼져 있는 호아하오교와 짬족이 믿는 이슬람교, 힌두교도 여전히 남아 있다.
10. 베트남사람들의 국민성
베트남 사람들은 근면하고 성실한 국민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여성들은 미의식이 높고 멋을 부리는 데 신경을 쓰는 사람도 많습니다.
베트남 사회를 일컬어 '완고한 촌락 사회라고 하는데
독립성과 폐쇄성을 띤 과거 촌락 성격이 안과 밖을 분명히 구분 짓는
베트남인의 국민성을 형성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유교적인 남존여비 사상도 여전히 남아 있지만 여성들의 성격이 강한 것도 사실입니다.
이것은 오랜 역사를 지나면서 남성들이 전쟁터로 나가는 일이 많아
여자들에게 사회를 맡겨야 했던 데서 기인합니다.
역별로도 기질이 조금씩 다른데 베트남 남부 사람들은 대범하고 호탕하며,
북부 사람들은 총명합니다.
중부 사람들은 성실한 노력가형이 많다고 합니다.
11. 정치
베트남은 사회주의 공화제 및 공산당 일당 체제의 국가입니다.
따라서 대통령이 없고 5년마다 전당 대회를 통해 권력 서열 1위의 서기장을 뽑습니다.
응우옌푸쫑 서기장이 2011, 2016년에 이어 2021년 전당 대회 인선까지 3연임에 성공했습니다.
당은 국가, 국회, 정부의 활동을 지도하고 있으며,
국회와 정부(총리)의 힘은 과거에 비해 강화되는 추세입니다.
12. 경제
베트남은 시장 경제를 도입한 사회주의 국가이기도 합니다.
베트남 전쟁 후, 호찌민이 이끈 북베트남의 주도하에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통일되었으나,
중국과의 분쟁, 난민 유출, 경제 파국 등 여러 문제가 나타났습니다.
이를 개혁하기 위해 1986년 ‘도이머이 정책’으로 시장 경제를 도입하고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에 가입했습니다.
2015년에는 독립 70주년, 종전 40주년을 맞이해 아세안(ASEAN) 경제 공동체를 발족시키는 등
새로운 시대를 열어 가고 있습니다.
13. 언어
공용어는 베트남어이며, 지방에 따라 발음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여행자들이 많은 호찌민, 하노이, 호이안 등의 호텔, 여행사, 레스토랑에서는 영어 사용이 가능하며
프랑스어와 중국어도 어느 정도 통용됩니다.
14. 기후
국토의 길이가 남북으로 1,700km(서울-부산 395km)에 이르기 때문에
지방에 따라 기후가 크게 다르게 나타납니다.
북부 지방은 사계절이 뚜렷해 여름에는 30도 이상, 겨울에는 10도 이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중부 지방은 3〜8월이 건기, 8〜10월이 우기로 강 수량이 많은 편입니다.
남부 지방의 경우, 크게 5〜10월의 우기와 11~4월의 건기로 나뉘며,
기온은 연중 26〜28도 정도입니다.
15. 비자
대한민국 국민은 베트남 비자 면제 프로그램에 따라 관광 목적일 경우,
비자 없이 15일 미만까지 체류가 가능하며,
15일 이상 체류 시 별도의 비자(e-visa)를 받거나 현지에서 연장을 해야 합니다.
2015년 1월 1일부터 시행되고 있는 무사증 제도(무비자 15일 체류 가능)를 이용해
입국하는 한구 국적자는 복수여권 유효기간(이하 일반여권)이 6개월 이상이어야 합니다.
단. 기업 관계자가 보유하고 있는 카드를 소지한 경우,
비자 역할을 한 수 있어 90일 이내 베트남 체류가 가능하게 됩니다.
'여행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낭 여행 일정 - 5박 6일로 즐기는 베트남 다낭 완벽 여행 가이드 (0) | 2024.10.25 |
---|---|
하노이 관광 명소 - 역사와 현대가 공존하는 매력적인 도시 탐방 (0) | 2024.10.21 |
베트남 여행: 놓칠 수 없는 추천 코스 (0) | 2024.09.20 |
베트남 여행 기본 정보, 떠나기 전 알고 가기(개략 정보2) (0) | 2023.08.02 |
여행, 정보, 해외여행, 국내여행, 준비 (0) | 2023.07.13 |
댓글